본문 바로가기

의학이야기/Medical710

이진복한의원 손목터널증후군 안녕하세요.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입니다. 중년 여성분들에게 많이 발생하는 손목터널증후군(수근관증후군)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수술없이 한의학적 치료가 아주 큰 강점을 지니고 있는 질환입니다. G56.0 수근관증후군 (Carpal Tunnel Syndrome) ❚정의 □ 수근관(carpal tunnel)에서 정중신경(median nerve)이 압박되어 생기는 지연성 정중신경 마비입니다. 정중신경 압박, 손목관절의 정중신경 포착 등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 팔에서 가장 흔한 압박성 신경병증입니다. 여러 원인에 의하여 수근관의 공간이나 크기가 줄어들어 정중신경을 압박하고 이로 인해 저림, 통증, 때로는 마비를 유발합니다. □ 유병률은 1,000명당 50명 정도로 알려져 있으나, 식당일 등의 손목 과사용 직.. 2021. 2. 6.
이진복한의원 월경통 2021. 2. 5.
이진복한의원 추나요법 2021. 2. 4.
이진복한의원 전문의 구별법 2021. 2. 3.
이진복한의원 평발로 생기는 구조적 문제 안녕하세요. 이진복 원장입니다. 어제 오신 환자분을 보다가 생각나서 적어봅니다. 이상적인 자세 정말 중요하죠. 체중을 한쪽 다리에 편위시켜서 서 있는 것은 골반의 변형과 변위를 유발합니다. 어제 내원하신 분은 평발이 문제였는데요. 평발로 인해 생기는 구조적 문제를 살펴보겠습니다. ​ 발이 회내되면 경골과 대퇴골은 연쇄적으로 내회전되고 장골은 전방회전되면서 아래로 처지게 됩니다. 골반이 아래로 처지면 보상적인 척추의 측굴과 회전으로 인해 견갑대는 위로 올라가게 됩니다. ​ 발의 회내는 쉽게 말해 평발을 이르는 것으로 아치가 무너져 운동능력이 떨어진 상태를 말합니다. ​ 발목 관절은 사선으로 이루어져 발이 회내되면 경골은 내회전됩니다. 따라서 대퇴골도 내회전되죠. 대퇴골의 내회전은 대퇴골 내측의 소전자에 붙.. 2021. 2. 2.
수면 위생(불면증 개선 생활습관) 안녕하세요. 이진복 원장닙니다. 불면증에 시달리는 분들은 병원 치료나 약물치료에 앞서서 바꾸어야 생활습관이 있습니다. 이를 수면 위생(sleep hygiene)이라고 부릅니다. 우선 생활 습관을 변화시켜 봅시다. ○ 규칙적인 기상시간을 지킬 것 ○ 수면 시간만 침대에 있을 것 ○ 불규칙한 낮잠을 피하고, 아무 때나 드러눕지 말 것 ○ 잠을 충분히 자고 일어났을 때 상쾌한 기분을 갖도록 할 것 ○ 안락하고 쾌적하며, 소음이 차단된 수면환경을 조성할 것 ○ 적당한 운동량과 자극을 유지할 것 ○ 저녁시간에 자극적인 음식이나 활동을 피할 것 ○ 잠자기 전에 따뜻한 샤워 ○ 수면 전 과식을 금물, 가벼운 우유나 스낵 등을 먹는 것은 도움 될 수 있다 ○ 술과 담배, 지나친 각성음료 등 중추신경계 작용 물질 피할 .. 2021. 2. 2.
이진복한의원 한약안전성 2021. 2. 1.
이진복한의원 슬개건염(무릎뼈 힘줄염) 무릎뼈 힘줄염 (Patella tendinitis; tendinopathy) ❚정의 □ 슬개건병증(Patella tendinopathy)은 슬개골과 경골을 잇는 힘줄인 슬개건에 통증, 기능장애, 부종 등의 증상과 함께 슬개건 조직의 변성 및 퇴행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 점프나 달리기와 같은 동작을 많이 하는 운동선수들에게 흔하다고 하여 대퇴사두근건병증과 함께 jumper’s knee라고도 불립니다. ▶ 최근에는 슬개건의 이상으로 발생한 통증과 병리적 현상에 대해 건염보다 건병증이라는 용어를 쓰는 추세입니다. 건병증은 건염이나 건증과는 달리 힘줄(건)의 과사용으로 유발된 임상적인 상태(통증, 기능장애, 부종 등의 병리상태)를 포괄적으로 가장 잘 설명하는 용어입니다. ❚증상 □ 가벼운 경우엔 점프, 달리.. 2021. 1. 30.
이진복한의원 봉침은 어떻게 통증을 조절하는가 ​모든 학문이 시대의 흐름에 맞춰 변화하고 쇄신하듯이 한의학도 새로운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변모하고 진화해야 한다. 최근 한의학계에서 활발하게 연구되고 발전하고 있는 분야 중 하나는 약침요법1 영역이다. 약침요법과 관련하여 다양한 실험논문 및 임상논문이 발표되고 있고, 이를 바탕으로 약침을 이용한 치료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임상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약침은 봉독약침이다. 봉독은 소염진통 효과와 함께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피질 축(H-P-A) 자극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근골격계 질환, 자가면역질환, 난치병 등에 활용되고 있다. 멜리틴2만을 추출하고 다른 성분은 제거한 봉약침,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효소 성분을 제거한 SBV(Sweet Bee Venom) 등 봉독은 다양한 형태.. 2021. 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