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이야기977 전주 이진복한의원 무릎 질환의 개요 안녕하세요.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입니다. 연령에 따라, 부위에 따라 호발되는 무릎 질환이 많습니다. 이렇게 아픈 부위에 따라 발생되는 질환이 다릅니다. 또한, 통증의 양상, 시기에 의해서도 구분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x-ray를 찍고 퇴행성으로만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영상의학적 검진 뿐만 아니라 이학적 검진, 부위, 통증 양상 등에 의해 질환 구분을 하고 치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한의학 박사, 침구의학과 전문의) 2025. 5. 19. 전주 이진복한의원 팔꿈치 부위별 질환 안녕하세요.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입니다. 팔꿈치 부위별 질환에 대한 개괄적 설명입니다. 팔꿈치(주관절)는 대개 부위별로 호발하는 질환이 있습니다. 많이 아는 것이 테니스 엘보, 골프 엘보 정도일 텐데요. 전면 후면 외측 내측에 따라 질환이 다릅니다. 부위와 이학적 검진을 통해 진단을 하고 그에 원인을 분석해서 치료하는 것이 아주 중요합니다. 질환별로 예후가 아주 다릅니다. 근육의 문제인지, 관절의 문제인지, 힘줄의 문제인지 잘 진단해서 치료해야 합니다.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한의학 박사, 침구의학과 전문의) 2025. 5. 19. 전주 이진복한의원 수근관증후군(손목터널증후군) 안녕하세요.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입니다. 오늘은 정중신경의 압박으로 발생하는 손목터널증후군(수근관증후군)에 대해 설명해보겠습니다. 진단적으로는, 대개 1~3지 손바닥의 저림을 호소한다고 하지만.... 임상적으로 한의원에 내원하시는 분들은 손바닥 전체가 저려서 자다 깬다고 표현을 많이 합니다. 발병 경과가 오래 되지 않은 경우네는 침치료와 약침 치료에 아주 좋은 반응을 보입니다. 그러나, 증상이 반복되거나 오랜된 경우, 무지굴근의 위축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유착된 부분을 박리해야만 합니다. 이 때는, 침도 요법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신경이 지나는 통로라 아주 조심히 다루어야 합니다.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한의학 박사, 침구의학과 전문의) 2025. 5. 19. 전주 이진복한의원 무릎 퇴행성 관절염 안녕하세요.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입니다. 오늘은, 무릎의 퇴행성 관절염에 대해 알아 보겠습니다. 퇴행성 관절염이란?퇴행성 관절염은 관절을 구성하는 여러가지 성분 중에서 관절 연골과 그 주위의 뼈에 퇴행성변화가 나타나는 질환임. 체중을 많이 받는 관절, 즉 무릎 관절, 엉덩이 관절 등과 관계가 깊은 질환 무릎에서의 퇴행성 관절염 증상- 통증: 활동시 악화되며, 휴식 시에도 지속될 수 있음. 그래도 쉬면 호전되는 경우가 많음. - 야간통 : 밤에 통증이 심해짐. 잠자기 전에 통증 악화 - 부기: 관절 주위가 붓고 열감을 느낄 수 있음. - 강직& 운동 범위 감소 : 무릎을 완전히 굽혔다 펴는 것이 잘 안 되고 관절이 뻣뻣하고 무릎에서 소리남. * 참고. 무릎에서 뚝 소리가 나면 무조건 관절염인.. 2025. 5. 12. 전주 이진복한의원 다미주 신경이론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입니다. 오늘은 다미주신경이론에 대해 설명해보겠습니다. 자율신경실조-우울, 호흡곤란, 틱, adhd, 공황장애. 소화불량, 긴장성두통, 다발성 경화증... 생물의 진화과정에서 나타난 신경계의 발달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기존의 교감, 부교감의 대립적인 체계가 아니라 세가지 경로로 구성된 위계적 시스템 작용에 해당하며, 새로 생겨난 미주신경이 이전의 신경회로를 조절하고 억제하는 반응이 나타난다는 이론입니다. 1. 등쪽 미주신경 복합체등쪽 미주신경 복합체는 생물진화의 초기에 나타난 원시적인 경로에 해당하며 주로 파충류에서 볼수 있습니다. 일종의 ‘얼어붙기’ 반응으로 위협을 느끼면 즉각적으로 심박수와 호흡을 멈추고 신진대사를 낮춰서 모든 행동을 멈추는 반응으로 고.. 2025. 4. 14. 전주 이진복한의원 무릎 통증의 모든 것 안녕하세요.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입니다. 오늘은 무릎 통증에 대해 아주 잘 설명 된 자료가 있어 소개드립니다. 무릎의 구조물이 복잡합니다. 또한 치료에 있어서도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한의학 박사, 침구의학과 전무의) 2025. 3. 31. 전주 이진복한의원 방아쇠수지(손가락) 안녕하세요.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입니다. 오늘은 방아쇠수지(손가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한의학 박사, 침구의학과 전문의) 2025. 3. 17. 전주 이진복한의원 급성 편도선염 안녕하세요.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입니다. 오늘은 급성 편도선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의 □ 편도는 구개 인후두부에 위치하는 여러 개의 림프조직을 말합니다. 이들은 면역계의 일부로 외부에서 들어오는 물질(음식, 공기 등)에 있는 외부 항원에 대항합니다. □ 편도선염은 인두염의 한 종류로 편도, 특히 구개편도에서 나타나는 급성 염증을 말합니다. ❚원인□ 보통 피로, 저온 노출, 면역질환 등이 주선행 원인이며 직접적으로는 세균, 바이러스(β 용혈성 연쇄상구균 (GABHS), 포도상구균, 폐렴구균, 헤모필루스 등) 감염으로 발생합니다. ❚증상□ 주로 소아나 청소년에게 잘 이환됩니다. □ 갑작스러운 고열 및 오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두통, 인후통이 발생하며 음식을 먹을 때마다 통증이 .. 2025. 2. 17. 한약 복용 67만명 분석했더니…"간 손상 없었다" 서울대-단국대 공동 연구팀, 심평원 자료 활용 분석 결과 한의의료기관에서 처방한 한약은 간독성으로부터 안전하다는 사실이 67만명이 넘는 대규모 환자군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를 통해 입증됐다.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원성호 교수팀과 단국대학교 이상헌 교수는 2011년부터 2019년까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청구 데이터를 이용해 67만2천4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의의료기관을 통한 한약 처방이 ‘약물 유발 간손상(DILI; Drug Induced Liver Injury)’ 위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연구를 진행했다.연구 결과, 한의의료기관에 내원했거나 한약 처방을 받은 후 90일 이내에 약물 유발 간손상 발생 위험이 증가하지 않았으며, 특히 외래 환자군에서는 위험도가 1.01(95% 신뢰구간:1.00~1.01.. 2025. 2. 10. 이전 1 2 3 4 ··· 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