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52

전주 이진복한의원 여름휴가 안내 안녕하세요.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입니다. 다들 휴가 다녀오셨나요?저희 한의원도 이제 휴가를 가려고 합니다. 8월 14일 목요일부터 8월 18일 월요일까지 휴가 기간입니다. 내원 및 진료예약에 착오없으시기 바랍니다.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한의학 박사, 침구의학과 전문의) 2025. 8. 11.
전주 이진복한의원 심비골신경 포착증후군 안녕하세요.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입니다. 오늘 소개해 드릴 질환은 임상에서 많이 보이진 않아 감별진단을 놓치는 심비골신경포착 증후군입니다. 엄지와 검지 사이로 찌르는 듯한 통증을 호소합니다. 대부분 허리에서의 문제로 보고 허리를 치료합니다.허리에 대한 이학적 검진을 통해 허리 질환을 배제해야 합니다. 심비골 신경의 포착 부위에 전침 및 약침 치료가 아주 효과적입니다.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한의학 박사, 침구의학과 전문의) 2025. 7. 31.
전주 이진복한의원 민생회복 쿠폰 사용가능합니다. 민생회복 지원금 쿠폰이 한의원에서도 사용 가능합니다. 급여, 비급여 부분 모두 사용 가능합니다.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한의학 박사, 침구의학과 전문의) 2025. 7. 21.
전주 이진복한의원 발목터널증후군 안녕하세요.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입니다. 발목 터널증후군(족근관증후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발목터널증후군이란 허벅지 오금 부위에서 발목 복사뼈까지 내려오는 경골신경에 비정상적인 압력이 가해져 발에 통증을 일으키는 것을 말합니다. 보통 발이 저리거나 열이 나서 화끈거리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허리디스크 환자의 경우 경골신경을 눌러 발이나 다리가 저리고 발바닥에 열이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후경골신경을 압박하고 있는 인대의 압력을 낮추는 것이 치료의 핵심입니다. 침과 약침 치료를 우선 시행하고, 효과가 미진하면 침도 요법을 통해 유착된 굴건지지대을 박리합니다.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한의학 박사, 침구의학과 전문의) 2025. 7. 12.
전주 이진복한의원 침해가소성 통증이란? 안녕하세요.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입니다. 오늘은, 다소 다루기 무서운(?) 침해가소성 통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통증은 크게신경병성 통증인 Neuropathic pain유해자극성 통증인 Nociceptive pain침해가소성 통증인 Nociplastic pain으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침해 가소성 통증이라고 번역하는 이 개념은 2016년 국제통증의학회(IASP)에서 제안되었습니다 ​"실제 혹은 위협적인 조직 손상이 말초의 통증 수용체(nociceptor)를 활성화시키거나 체성 감각계에 영향을 주는 질병이나 병변이 통증을 유발한다는 명확한 근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변형된 통증 감지 과정에서 발생하는 통증"으로 정의합니다 침해가소성 통증은 지속적인 염증과 조직 손상으로 인한 침해수용성 통증과.. 2025. 7. 1.
전주 이진복한의원 흉곽출구증후군 안녕하세요.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입니다. 오늘은 경추 디스크로 오인하기 쉬운 흉곽출구증후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확한 진단 하에,약침 치료와 추나 치료를 통해 빠른 회복을 보입니다.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한의학 박사, 침구의학과 전문의) 2025. 6. 2.
생일 선물 1. 딸의 선물아빠가 바다를 좋아한다고 미술 학원에서 열심히 바다 그림을 그려 왔네요^^ 2. 아들 선물아빠 바다 호텔 예약하라고 자기가 열심히 모은 용돈을 주네요^^ 진료 끝나고 다같이 맛있는 저녁 식사도 하고 집에 와서 생일 케익 먹으면서 뜻깊은 하루를 보냈습니다. 모두 즐거운 5월 보내세요~~^^ 2025. 5. 28.
전주 이진복한의원 6월 진료 안내 안녕하세요.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입니다. 6월 3일 대선일에는 오후 1시까지 점심시간없이 진료하고, 6일 현충일은 휴진합니다. 내원 및 진료 예약에 착오없으시기 바랍니다.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한의학 박사, 침구의학과 전문의) 2025. 5. 27.
전주 이진복한의원 무릎 질환의 개요 안녕하세요.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입니다. 연령에 따라, 부위에 따라 호발되는 무릎 질환이 많습니다. 이렇게 아픈 부위에 따라 발생되는 질환이 다릅니다. 또한, 통증의 양상, 시기에 의해서도 구분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 x-ray를 찍고 퇴행성으로만 생각하기 쉽습니다. 하지만, 영상의학적 검진 뿐만 아니라 이학적 검진, 부위, 통증 양상 등에 의해 질환 구분을 하고 치료를 받으셔야 합니다.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한의학 박사, 침구의학과 전문의) 2025. 5.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