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이야기944

정우이진탕정 등 신규 7품목 한약제제 급여 정우이진탕정 등 신규 7품목 한약제제 급여쿠키뉴스 | 조민규 | 입력 2016.04.28. 00:35카카오스토리트위터페이스북툴바 메뉴폰트변경하기폰트 크게하기폰트 작게하기메일로 보내기인쇄하기스크랩하기고객센터 이동심사평가원, 한약제제 보험급여 개정 설명회[쿠키뉴스=조민규 기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원장 손명세, 이하 심사평가원)은 ‘보험급여 한약제제 관련 제약사 설명회’를 27일 서초동 서울사무소 지하1층 대강당에서 개최했다.이번 설명회는 한약제제 제약사 및 청구 소프트웨어 업체 등을 대상으로 ▲신규제형 등재에 따른 한약제제 급여목록 개정사항 ▲변경된 한약제제 인터넷 결정신청 방법 등을 안내한다.그간 심사평가원은 한약제제 보험 활성화를 위해 2013년에는 ‘한방보험용 한약제제 표준화 및 상한금액 현실화’와 2.. 2016. 4. 28.
촉진법(palpation) Skin and muscles represent independent sensory input organs for treatment methods based on reflexes (connective-tissue massage) and energy flow (acupuncture) as well as locally applied treatment methods (e.g .. Swedish massage). 피부와 근육은 반사반응(결합조직마사지)과 에너지 흐름(경락), 국소적으로 적용되는 치료법(스웨덴식 마사지)를 위한 독립적인 감각기관임. Systematic palpation of these tissues has long been a topic of discussion. In connective-tiss.. 2016. 4. 28.
재활치료의 7가지 기본 원칙 재활치료 프로그램의 7가지 기본원칙 재활치료 프로그램에는 7가지 원칙이 있으며, 이는 재활치료의 기본적 토대가 된다. ATC IS IT로 기억하면 좋을 듯 하다. 1. A: 악화 방지 (Avoid Aggravation) 재활치료 과정에서 손상의 정도를 더 이상 악화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잘못 처치하거나 오판으로 인하여 재활운동이 오히려 손상상태를 악화시킬 수도 있다. 기본적인 원칙사항으로 히포크라테스의 말을 인용하자면, "질환을 나아지도록 도와주거나 혹은 더 이상 심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치유하는 것이다." 라는 이러한 충고는 똑같이 재활치료 과정에서 적용된다. 부상선수의 손상부위가 악화되지 않도록 하면서 재활운동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호전되도록 하는 것이 재활의 중요한 의미에 해당된다... 2016. 4. 28.
견관절 통증의 치료에서 근골격 초음파의 유용성 2016. 4. 25.
교통사고 환자 99% “한의치료 만족” 교통사고 환자 99% “한의치료 만족” 치료 개별 만족도는 봉∙약침>침>추나요법 순 전국 자생한방병원 내원 교통사고 환자 859명 설문조사 [한의신문=윤영혜 기자]교통사고로 한의치료를 받은 환자 대부분은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환자 한 명당 평균 3개의 통합치료를 받은 것으로 확인됐으며 개별 치료 항목에서는 약침을 가장 선호했던 것으로 조사됐다.자생한방병원은 교통사고 치료를 위해 내원한 환자 859명을 대상으로 ‘교통사고 후 한의치료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왔다고 25일 밝혔다.자생한방병원은 설문지를 통해 ‘매우 만족’, ‘만족’, ‘다소 만족’, ‘불만족’, ‘매우 불만족’ 등 5가지 항목으로 나눠 질문한 결과 ‘매우 만족’이라고 응답한 환자는 231명(27%)이었으며 ‘만족’.. 2016. 4. 25.
감압치료기(spine MT) 2016. 4. 25.
흉요추 연접부 증후군(TL junction syndrome) 2016. 4. 25.
강직성 척추염 강직성 척추염의 개요를 소개합니다. 증상 및 최신 진단 기준.치료적 접근법 2016. 4. 21.
CPR 가이드라인 5년 만에 개정 CPR 가이드라인 5년 만에 개정 심폐소생술(이하 CPR) 가이드라인이 5년 만에 개정됐다. 대한응급의학회는 14일 열렸던 춘계학술대회를 통해 새로운 CPR 가이드라인의 하이라이트를 공개했다. 그동안 CPR 가이드라인은 1966년 미국심장협회(American Heart Association: AHA)와 미국과학아카데미가 처음으로 제정한 후, 관련 분야의 연구 결과를 반영해 일정한 주기로 개정됐다. 한국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은 대한심폐소생협회(이하 KACPR)가 2006년에 처음 제정했다가 2011년에 개정한 바 있다. 이번 개정안은 작년 10월 심폐소생술 국제연락위원회가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발표함에 따라 국내 사정에 맞게 수정한 것이다. 새로운 CPR 가이드라인 하이라이트 CPR에 있어 성인과 소아의 기.. 2016. 4.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