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도하게 항진된 교감신경의 흥분 진정시키다 되려 실신까지 이르러
한약·뜸·침 치료 등 통해 기 순환 조절…자율신경계 기능 ‘정상화
# 3년 전 환자 A씨(21세·여)는 만원 지하철을 타고 가던 중 갑자기 가슴이 답답하고 속이 메스꺼우면서 식은땀이 나기 시작했다. 잠시 심호흡을 하면서 정신을 가다듬으려는 순간, 눈앞이 캄캄해지면서 의식을 잃고 바닥에 쓰려졌다. 곧바로 의식이 돌아왔지만, 다시 의식을 잃고 넘어져 응급실을 찾았다. 여러 검사에도 뇌와 심장에는 이상 없다는 소견을 듣고 퇴원했지만 이후에도 오래 서 있거나 사람이 많은 밀폐된 공간에 가면 쓰러지기 전에 느꼈던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 결국 한방내과 진료실을 찾았다.
한방기능 검사를 통해 기허(氣虛)로 인한 기궐(氣厥)로 진단받았고, 침·뜸 치료 후 보중익기탕 처방을 통해 실신 전 증상이 완전히 소실됐고, 3년간 추적관찰에도 실신이 재발하지 않았다.
빨라진 심장 박동 진정시키다 되려 실신
일시적으로 의식이 소실되는 실신은 모든 연령층에서 발생하는 비교적 흔한 증상으로, 뇌로 가는 혈액 순환이 갑작스럽게 감소하면서 발생하며, 부정맥·판막질환·뇌혈관 협착·기립성저혈압 등 원인이 다양하다. 그 중 가장 흔한 원인은 자율신경계의 이상 반응으로 인한 혈관미주신경성 실신이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실신 환자의 40% 이상이며, 실신으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의 66%는 혈관미주신경성 실신이 원인이었다.
이와 관련 경희대학교병원 한방내과 박성욱 교수(사진)는 “혈관미주신경성 실신은 극도로 긴장하거나 심한 정신적·육체적 스트레스로 인해 자율신경계 중 교감신경이 과도하게 흥분하는 것이 유발요인”이라며 “지나친 긴장으로 교감신경이 흥분되면 말초 혈관이 수축하고 심장 박동이 강해지면서 빨라진다. 이런 변화가 혈관 운동을 조절하는 뇌 중추인 연수 부위를 자극하게 되고, 이를 조절하기 위해 반대로 부교감신경계가 활성화되면서 말초 혈관을 확장시키고 심장 박동을 느리게 만드는 반응이 일어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조절반응이 과도해지면 혈압이 지나치게 떨어지고, 뇌 혈류가 급격하게 저하되면서 실신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실신 직전 어지럼증, 식은땀, 두근거림 등 전조증상 발생
혈관미주신경성 실신은 이처럼 자율신경계의 변동이 원인이기 때문에 의식을 잃고 쓰러지기 전에 대부분 전조증상이 있다. 전신 무력감, 하품, 식은땀, 상복부 불쾌감, 메슥거림, 어지럼증, 시야 흐려짐, 두근거림, 두통 등을 호소한다. 대개 의식을 잃고 쓰러지기 수초에서 수분 전에 발생하는데, 이때 환자 스스로 곧바로 앉거나 눕지 않으면 바로 의식을 잃고 쓰러진다. 실신 이후에는 뇌 혈류가 회복되면서 대부분 수초 내에 의식이 저절로 돌아온다.
박 교수는 “실신으로 넘어지는 과정에서 머리를 부딪치는 등 외상을 입을 수 있으며, 실신이 반복적으로 재발하는 경우가 많다”며 “그런 까닭에 재발 방지를 위해 자율신경계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전신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의학에서는 실신을 궐증(厥證)이라 부르는데, 전신에 발생한 여러 가지 변화 때문에 기혈(氣血)의 운행이 혼란돼 일시적으로 의식을 잃고 쓰러지는 혼궐(昏厥)의 증상을 가리킨다.
실신의 원인에 따라 △기궐(氣厥) △혈궐(血厥) △담궐(痰厥) △식궐(食厥) △서궐(暑厥) △주궐(酒厥) △색궐(色厥) 등 7가지로 나눠 치료가 이뤄진다. 혈관미주신경성 실신은 대부분 기궐의 범주에 포함되고, 주로 기의 순조로운 순환에 장애가 생긴 문제이다. 기궐은 과도한 긴장이나 스트레스로 기의 순환이 펼쳐지지 못하고 울결(鬱結)되어 발생하는 경우와 심한 피로나 수면 부족, 다이어트, 오랜 질병 등으로 기가 지나치게 약해져서 발생하는 경우로 구별된다.
실신, 한의학적으로 기 순환에 문제가 생겨 발생
기의 순환이 제대로 되지 못하는 ‘울결’이 원인이 된 경우에는 엉키고 울체된 기운을 흩어주고 풀어주는 가미소요산이나 시호소간산 등이 활용된다. 특히 시호소간산은 베타차단제를 사용한 대조군과의 비교 임상시험을 통해서 혈관미주신경성 실신의 재발을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 또한 기운이 지나치게 약해져서 실신이 발생했다면, 기운을 보충하고 상승하도록 도와주는 보중익기탕과 승양익기탕이 대표적으로 처방된다.
이와 함께 침·뜸 치료도 자율신경계의 기능을 회복하고 기의 순환을 조절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특히 족삼리혈과 내관혈은 기초연구와 임상시험을 통해 자율신경계의 기능을 정상화하고 혈관의 운동성을 개선하는 것으로 보고되기도 했다.
박 교수는 “혈관미주신경성 실신은 외상의 위험과 재발로 인해 그 고통이 매우 크다”며 “다양한 임상을 통해 한의학적 치료가 혈관미주신경성 실신을 포함한 실신 관련 치료에 매우 효과적임이 증명되고 있는 만큼 한의학 치료가 좋은 대안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밖에 박 교수는 생활 속에서 미주신경성 실신에 대한 대처법으로 전구증상이 나타나면 즉각적으로 무릎을 세우고 쪼그려 앉거나 다리를 올리고 누워서 의식을 잃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때 앉거나 누워서 전구증상이 호전되더라도 바로 일어나면 실신 증상이 발생할 수 있어 10분 정도 안정을 취한 뒤 일어나야 한다고 조언했다.
'의학이야기 > Magazi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의보감, 생동감 있는 콘텐츠로 감상한다” (0) | 2021.03.28 |
---|---|
자동차보험 한의진료, 국민의 ‘만족과 신뢰’ 속에 증가세 ‘지속’ (0) | 2021.03.27 |
새치를 뽑으면 안되는 이유 (0) | 2021.03.20 |
세로토닌의 두 얼굴 (0) | 2021.03.17 |
내가 남들보다 '방귀' 자주 뀌는 이유는? (0) | 2021.03.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