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이야기/의학 지식

전주 이진복한의원 사각근증후군(팔저림)

by 이진복한의원 2022. 3. 23.

안녕하세요.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입니다. 

 

의외로 팔저림의 원인이 목이 아닌 근육의 문제로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각근

사각근(Scalene muscle)은 목의 측면에 위치하는 작은 근육입니다.

이 부위로 상완신경총(Brachial plexus), 쇄골하동맥(Subclavian atery), 쇄골하정맥(Subclavian vein)이 지나기 때문에 팔에 통증, 저림, 따끔거림, 근력약화 뿐만 아니라 등, 어깨, 가슴에도 통증을 동반할 수 있고 손의 부종, 시림, 혈액순환 장애 등의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만큼 임상적으로 중요한 근육입니다.

 

사각근은 전사각근(Scalene anterior), 중사각근(Scalene medius) 후사각근(Scalene posterior) 최소사각근(Scalene minimus)으로 구성됩니다.

전사각근은 C3~C6 횡돌기의 전결절에서 기시하여 첫번째 늑골 내측연에 정지하고

중사각근은 C2~C7 횡돌기의 전결절에서 기시하여 첫번째 늑골 두측면에 정지합니다.

후사각근은 하부경추 2~3개의 횡돌기의 후결절에서 기시하여 2번째 늑골의 외측면에 정지하고

최소사각근은 C7 횡돌기의 전결절에서 기시하여 첫번째 늑골의 내측연에 정지합니다.

기능:

목의 측굴 운동. 흉쇄유돌근, 전경근과 함께 작용하여 굴곡운동.

상완신경총은 전사각근과 중사각근 사이를 통과합니다.

상완신경총은 팔 전체의 신경지배를 하는 신경 얽기에 해당되는데 사각근이 긴장되면 이 신경을 압박하게 됩니다. 사각근 치료로 팔 신경 전체에 어느 정도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 임상적으로 치료에 잘 반응하는 신경이 있습니다.

전사각근 치료로 호전: 요골신경(Radial nerve), 흉근신경(Pectoral nerve)

요골신경은 상완의 삼두근을 지나 전완부의 신전근을 지배합니다. 요골신경을 따라 전체적으로 뻐근한 통증을 호소할 수도 있고, 손가락이 뻣뻣하다고 호소하기도 하며, 엄지 손가락 주변에 통증을 호소하여 손목건초염과 혼동할 수도 있습니다. 흉근신경은 대흉근을 지배하기 때문에 가슴 부위에 통증으로 나타납니다.

중사각근 치료로 호전: 견갑배신경(Dorsal scapular nerve), 장흉신경(Long thoracic nerve)

견갑배신경은 견갑거근, 능형근의 운동신경을 지배하기 때문에 목이 뻣뻣하고 견갑골 내측으로 뻐근한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장흉신경은 전거근의 운동신경을 지배하기 때문에 겨드랑이, 옆구리에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팔 전체로 저리거나 손이 저리다고도 합니다.

특히 자다가 팔이 저리다고 하면 사각근증후군손목터널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사각근증후군은 전사각근 치료에 잘 반응합니다.

손목터널증후군은 정중신경이 손목에 있는 일정 공간(손목터널)을 지날 때 압박을 받아 손저림이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근력저하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는데 팔 전체에 힘이 없다고 호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전사각근 치료에 잘 반응하는데 근력저하가 나타나는 요골신경마비, 척골신경마비, 정중신경마비와는 반드시 구분해야 합니다.

사각근이 긴장하면 제1번 늑골을 위로 당기므로 쇄골하 공간이 좁아지면서 혈액순환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치료:

침, 전침 또는 약침을 이용해 치료합니다.

신경포착(nerve entrapment)이 심하다면 전기신경치료를 병행하기도 합니다. 만약 제1번 늑골이 상방으로 아탈구 되어 있다면 추나치료를 통해 하방으로 교정해야 합니다.

예방:

사각근 긴장은 호흡이 빠르고 흉식호흡을 주로 하는 분들에게 잘 생깁니다.

흡기시 복부가 팽창하고 횡격막이 내려가면서 흉곽이 벌어져야 폐의 용적을 최대로 넓힐 수 있습니다. 흔히 말하는 복식호흡, 단전호흡을 말하죠. 그런데 흉곽을 위로 끌어올리면서 흉식 호흡을 위주로 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흉식 호흡은 늑골을 위로 끌어 올리기 위해 사각근이 과긴장하게 됩니다. 대체적으로 성격이 급한 분들에게 잘 생깁니다. 

마음에 여유를 갖고 복식호흡을 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사각근증후군을 예방하는 좋은 방법입니다.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한의학 박사, 침구의학과 전문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