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이야기/Medical

전주 이진복한의원 교감신경계의 생리학적 해부

by 이진복한의원 2022. 3. 18.

안녕하세요.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입니다. 

교감신경계의 생리학적 해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그림에서는 교감신경계 말초 영역의 일반적 구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림에는 (1) 척주 측면의 척수신경(spinal nerves)과 연결된 두개의 교감신경절 사슬 중 하나와 (2) 척추전신경절(prevertebral ganglia)(복강, 상장간막, 대동맥신장, 하장간맥, 하위), (3) 신경절에서 각기 다른 내장기관으로 뻗어나가는 신경섬유들이 보입니다. 교감신경섬유는 척수신경을 따라 척수분절 T1과 L2 사이의 척수에서 기원하여, 교감신경사슬로 들어간 후 교감신경에 의하여 자극 받는 조직이나 기관으로 주행합니다.

1. 신경절전 그리고 신경절후 교감신경 뉴런

 

교감신경과 골격근 운동신경의 차이점을 알아봅시다. 척수에서 조직까지 가는 교감신경 경로는 두 뉴런, 즉 신경절전뉴런(preganglionic neuron)과 신경절후뉴런(postganglionic neuron)으로 구성됩니다. 반면에 골격운동신경의 경로는 오직 하나의 뉴런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신경절전뉴런의 세포체는 척수의 중간외측뿔(intermediolateral horn)에 위치하고, 그 섬유는 척수의 전근(ventral root)을 통해 해당 척수신경을 통과합니다.

 

척수신경이 척수관을 나온 직후, 신경절전 교감신경섬유는 척수 신경을 떠나 백지(white ramus)를 통하여 교감신경사슬 신경절 중 하나를 통과합니다. 이어서 이 신경섬유는 다음 세 경로 중 하나를 따르게 됩니다.

 

(1) 진입한 신경절 안의 신경절후 교감신경섬유와 시냅스 할 수 있습니다.

(2) 사슬 내에서 위나 아래로 통과하여 사슬의 다른 신경절과 시냅스 할 수 있습니다.

(3) 사슬을 통해 다양한 거리를 통과해 사슬 바깥으로 방사하는 교감신경을 거쳐, 결국 말초 교감신경절에 시냅스 할 수 있습니다.

 

신경절후 교감신경뉴런은 따라서 교감신경사슬 신경절 또는 말초 교감신경절에서 기원합니다. 이 둘 중 하나로부터 신경절후섬유는 그들의 목적지인 다양한 기관으로 향하게 됩니다.

 

 

2. 골격근 신경에 있는 교감신경섬유

 

일부 신경절후섬유는 교감신경사슬로부터 척수의 모든 레벨의 회백지(gray rami)를 통해 척수신경으로 돌아갑니다. 이 교감신경섬유들은 모두 아주 작은 C type 섬유이며, 골격 신경을 통해 신체 모든 부위로 뻗어갑니다. 그리고 혈관, 땀샘, 머리카락의 털세움근을 조절합니다. 평균적으로 골격 신경섬유의 8% 정도가 교감신경섬유이며, 이는 그 중요성을 알게 하는 부분입니다.

 

 

3. 교감신경섬유의 분절적 분포.

 

척수의 여러 분절에서 기원하는 교감신경 경로는 같은 분절에서 나온 체성 척수신경섬유와 꼭 신체의 같은 부위에 분포하는 것은 아닙니다. T1 분절에서 나온 교감신경섬유는 일반적으로 머리에서 끝나는 교감신경사슬로 올라갑니다. T2 분절에서 나온 것은 목에서 끝납니다. T3, T4, T5, T6에서 나온 것은 흉강으로 들어갑니다. T7, T8, T9, T10, T11로부터는 복부로 들어갑니다. T12, L1, L2에서 다리로 갑니다. 이 분포는 대략적인 것이고 겹치는 부분이 많습니다.

 

각 기관으로 가는 교감신경의 분포는 부분적으로는 태아 때 기관이 기원한 위치에 따라 정해집니다. 예를 들어, 심장은 목 부위의 교감신경사슬로부터 많은 교감신경을 받는데, 이는 심장이 흉강으로 전위되기 전에 태아의 목에서 기원했기 때문입니다. 복부기관 역시 태아 때 대부분 하부 흉부 척수신경절에서 기원했기 때문에 이 영역으로부터 대부분의 교감신경을 받습니다.

 

 

4. 부신수질에 있는 교감신경 종말의 특성.

 

신경절 이전의 교감신경섬유는 시냅스 없이 척수의 중간외측뿔세포(intermediolateral horn cells)로부터 나와 교감신경사슬을 통과합니다. 그리고 장신경(splanchnic nerves)을 통과하고, 마지막으로 두 개의 부신수질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여기에서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을 혈액으로 분비하는 변형된 신경세포에서 종말하게 됩니다. 이들 분비세포는 발생학적으로 신경조직으로부터 유래되었고 실은 신경절후뉴런입니다. 실제로 제대로 발달하지 못한 원시상태의 신경섬유를 갖고 있습니다. 부신호르몬인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을 혈액으로 분비하는 것이 이들 섬유의 최종 역할입니다.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한의학 박사, 침구의학과 전문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