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이야기/Medical

전주 이진복한의원 통증과 운동제한의 양상에 따른 병변 조직의 감별

by 이진복한의원 2021. 12. 30.

안녕하세요.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입니다. 

 

한의대 학생들 설명 자료라 어려울 수 있지만 내원하는 환자분들께도 설명드리는 내용입니다. 

 

1. 관절낭 패턴과 비관절낭 패턴의 구분

1) Capsular pattern (관절낭 패턴)

- 관절낭의 손상(외상, 염증, 고정 등)으로 ROM의 제한 정도가 일정비율로 나타나는 패턴.

- 각 관절들은 비율적인 제한이 특정하게 나타난다. 관절낭 양상은 근육에 의해 조절되는 관절에만 나타나므로 천장관절이나 원위경비관절과 같은 관절에는 관절낭 패턴이 나타나지 않는다.

- 특징 : 일정한 형태의 제한이 있는 운동 패턴을 보인다.(pattern of proportional limitation)

 

2) Noncapsular pattern (비관절낭 패턴)

- 관절낭 이외의 조직들의 손상으로 ROM 제한이 비대칭적으로 나타난다.

- 인대염좌(ligament strain) - 수동검사시 반대측 방향의 끝범위에서 통증호소

- 내부장애(internal derangement) - 한관절 혹은 일부관절 운동시 통증과 가동범위의 제한이 있지만 관절낭 병변은 아니다.

) 손목의 유두골 아탈구 - 굴곡과 편위는 정상이며 수동신전 동작에 통증과 제한 발생

 

2. Cyriax에 나오는 세 가지의 운동제한과 그에 관계되는 해석.

** 수동운동 검진

수동운동은 검사하는 관절에 관련된 모든 비수축성 조직을 검사하기 위한 것이다. 검사할 동작은 일반적으로 능동운동에서 했던 동작과 같으며, 기능적인 동작뿐만 아니라 순수한 기본적인 면에서의 동작도 포함한다. 수동운동범위(PROM)AROM처럼 각도계로 측정하고, 다음에도 참고하기 위하여 기록해 둔다. 능동운동과 수동운동의 ROM 차이는 근골격계 검사의 해석적인 관점에서는 기본이 된다.

 

1) 능동 및 수동운동에서 같은 방향으로 제한이 있거나 통증 : 관절성 병변(해부학적 관절에 포함되는 구조)을 나타낸다.

한 예로 관절와 상완관절이 능동 및 수동운동에서 같은 방향으로 제한되는 경우는 관절낭의 제한이 그 원인이다. 좀 덜 모호한 예로는 슬관절의 관절연골의 손상이 능동 및 수동운동시 같은 방향과 같은 지점에서 손실을 일으키는 골연골 단편(; 이단성 골연골염)의 경우를 들 수 있다.

 

2) 능동 및 수동운동에서 반대방향으로 운동범위가 제한되거나 통증 : 연부조직의 병변을 나타내는 것이며, 대개 수축성 조직이 고려해야할 원인이 된다.

그 예로는 고관절 굴곡근(장요근)에 일차적인 병변이 있는 환자의 경우, 수축성 구조가 불완전해서 능동적인 고관절 굴곡의 소실이 초래된다. 이에 더하여 반흔조직이나 결함 있는 근육의 신장, 통증이나 단축된 결합조직의 제한 등으로 인해 수동적인 고관절 신전도 제한된다.

 

3) 다양한 방향으로의 수동운동의 상대적인 제한 : 관절낭 패턴을 나타낸다.

이는 환자마다 상당히 일치되는 동작의 상실을 나타내기도 한다. 흥미롭게도, Cyriax의 근골격계 병변의 운동소실에 대해서 이의를 제기한 최근의 연구에서도 모든 사례에서 전반적으로 타당하다는 것을 증명하지 못했다.

 

3. 수동운동의 끝느낌에 대한 해석.

- 수동운동의 마지막 지점에서 검사자가 느끼는 감각을 끝느낌(end feel)이라고 했다. 이 전형적인 끝느낌에 관한 분류와 이에 따른 일반적인 해석은 다음과 같다.

1) bone-to-bone : 두 단단한 면이 만나서 동작이 갑작스럽게 정지하는 느낌(; 정상적인 주관절의 완전한 수동 신전). 일단 이러한 느낌이 들면 절에 더 힘을 가해서는 안 된다.

 

2) capsular end feel : 운동의 마지막 범위에서 적은 양의 움직임에 대한 가죽 같은(leathery)”, “굳은 듯한(hardish)” 저항감. 관절낭 끝느낌의 특성을 보여주는 예로는 완전히 외회전된 견관절을 들 수 있다.

 

3) springy block : 대개는 병적인 끝느낌인 이것은 일반적으로 슬관절의 반월판 병변과 같은 관절내 변위가 있다고 여겨진다. 되튐(rebound)은 관절가동범위의 끝범위에서 보고 느낄 수 있으며, 슬관절의 두 관절 사이에 변위된 연골이 끼어 되튐이 일어난다. 치료사는 이런 움직임이 종종 환자에게 통증을 일으킨다는 것에 주의해야한다.

 

4) tissue approximation: 연부조직이 맞닿아 더 이상의 관절 운동이 없다. 예를 들어 대퇴 후부의 슬괵근과 하퇴삼두근이 맞닿아 더 이상 무릎을 굽힐 수 없는 경우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운동범위는 완전하며 통증도 없다.

 

5) empty feel : 거의 대부분 병적인 상태이다. 이런 움직임은 관절의 삼출과 전십자 인대가 완전히 찢어진 것과 같은 관절내 구조물의 파열과 관련이 있다. 또한 류마토이드 관절염과 같은 관절파괴 병변이나 텅빈 느낌이 들게 만드는 과도한 관절운동을 초래하는 악성종양에 의해 관절연골이 파괴된 경우이다.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한의학 박사, 침구의학과 전문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