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이야기/의학 지식

전주 이진복한의원 무릎 뒷쪽의 통증(슬와근)

by 이진복한의원 2022. 1. 14.

안녕하세요.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입니다. 

 

은근 무릎 뒷쪽의 통증을 호소하면서 내원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무릎 뒷쪽 통증의 퍼스트 초이스는 바로 슬와근입니다. 

 

슬와근(Popliteus)은 무릎 뒤쪽에 붙어 있는 근육입니다. 

무릎 뒤쪽 오금 부위에 통증이 있을 경우 슬와근의 문제가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대퇴외과, 슬관절낭, 외측 반월상 연골, 비골두에서 기시하여 경골의 후내측 상면에 정지합니다.

경골신경(Tibial nerve)의 신경지배를 받습니다.

기능, 작용:

경골을 내회전 합니다.

경골 내회전은 보행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대퇴골 말단의 관절돌기 표면의 길이가 외측에 비해 내측이 더 깁니다.

따라서 신전의 마지막에 경골 외회전이 일어나게 되어 무릎 잠김이 생깁니다.

반대로 무릎을 굴곡할 때는 슬와근이 수축하여 경골을 내회전시켜야만 무릎 잠김이 풀어지면서 굴곡이 가능하게 되죠.

따라서 "무릎의 열쇠"라 언급되기도 합니다.

쪼그리는 동작 동안 슬와근 활성 근전도 분석에서 경골 위에 대퇴골의 전방 이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때인 무릎 완전 굴곡에서 신전으로 전환할 때 이 근육이 가장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난다고 합니다.

따라서 쪼그려 앉았다가 일어나려면 주변을 붙잡거나 바닥을 손으로 짚어야 일어날 수 있는 경우에 슬와근의 약화도 고려해야 합니다.

슬와근은 위에서부터 차례로 3부분의 섬유로 구분할 수 있는데 아래쪽의 두 섬유는 무릎을 60~120도 굴곡할 때 가장 많이 늘어납니다. 따라서 무릎을 굴곡할 때 오금쪽 통증을 호소합니다.

전반슬, 내반슬의 구조적 문제가 있을 때에도 통증을 자주 일으킵니다.

치료:

위 사진에 표시된 근복부 부위의 트리거포인트(TrP)를 위주로 치료합니다. 오금 통증이 나타날 때 비복근 문제를 동반하는 경우도 많으므로 압통이 있다면 함께 치료해야 합니다.

슬와근은 경골신경의 지배를 받습니다. 경골신경은 대퇴이두근의 긴장으로 인해 포착(entrapment)되기 쉽죠. 전반슬, 내반슬의 구조적 문제는 대퇴이두근을 긴장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대퇴이두근의 긴장과 압통이 표현되면 꼭 치료해야 합니다.

근복부 치료에 반응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면 힘줄 부착부를 함께 치료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부착부 건염이 있을 때 보통은 무릎 외측으로 통증을 호소하지만 오금쪽으로 통증을 느끼기도 합니다. 위에 표시된 부위에 압통을 확인하여 화침, 봉침 등으로 치료 합니다. 슬와근 힘줄은 Poplitiofibular ligament에 보강되는데, 여기서 염증을 잘 일으킬 수 있기에 이 부분도 함께 살피는 것이 필요합니다.

 

전주 이진복한의 이진복원장(한의학 박사, 침구의학과 전문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