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이야기/Medical

전주 이진복한의원 아프니까 한약!!

by 이진복한의원 2021. 12. 24.

안녕하세요.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입니다. 

 

오늘은 한약에 대한 기고문을 올려봅니다. 

기존의 양약(洋藥), 그러니까 근현대 약리학에서는 ‘몸에 특정 작용을 일으키는 수용체를 찾아내 거기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물질을 주입하면 목표하는 작용이 일어날 것’이라는 관점으로 치료에 접근한다. 그리고 한동안 이런 패러다임으로 많은 약물이 개발되어 인류 건강에 이바지해온 것도 사실이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약물의 장기적인 효과를 검토해보니 뜻하지 않은 부작용들이 너무도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하게 됐다. 근본적인 이유는 진화를 통해 만들어진 생물학적 시스템이 그렇게 단순하지 않기 때문이었다. 특정 수용체에만 선택적으로 작용했다고 생각한 화학 성분이 실은 다른 부위에 영향을 끼치는 경우도 많았고, 연쇄적으로 매우 다양한 부작용을 일으키는 경우도 많았다.

 

대표적인 예가 ‘스타틴 역설(Statin Paradox)이다. 심혈관 질환의 발생을 막고자 복용하는 고지혈증 치료제 스타틴이 역설적으로 심혈관 질환의 위험도를 높인다는 것인데, 2008년에 발표된 JUPITER(Justification for the Use of statins in Primary prevention: an Intervention Trial Evaluating Rosuvastatin) 연구가 대표적인 임상 연구이다. 본래는 스타틴을 조기에 투여해 심혈관 질환의 발생 자체를 막을 수 있음을 밝히려고 기획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스타틴이 제2형 당뇨병의 발생 위험을 높인다는 것을 밝히게 되었다. 2형 당뇨병은 심근경색, 뇌졸중, 말초혈관 질환, 심장마비 등 모든 심혈관계 질환 발현의 주요 위험 인자이다.

인체의 복잡성을 보여주는 또 다른 예로 ‘세로토닌 증후군’도 있다. 이는 일종의 약물 부작용인데, 중추와 말초에서 세로토닌 활성이 증가하어 나타나는 위협적인 중독 증상을 총괄해 말한다. 빈맥, 떨림, 발한 등의 가벼운 증상부터 동공확대, 진전, 간대성 근 경련증(myoclonus), 과다반사(hyper-reflexia)와 같은 심각한 부작용 증상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부작용들은 항-정신병제 복용 시 나타나는 부작용과 비슷한데, 세로토닌의 역할과 세로토닌 증후군 유발 약물들이 몸에서 일으키는 기전에 대해 알면 부작용이 발생하는 이유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시냅스에 분비되어 기분을 좋게 만들어 주기 때문에 ‘행복 호르몬’으로 알려진 세로토닌은 일종의 신경전달물질이다. 분비되었던 세로토닌은 다시 재흡수되어 본래의 위치로 돌아가는데, 이러한 효과를 일으키는 약물들을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s, SSRI)’라고 부른다. 우울증 등의 기분장애와 불안장애에 자주 사용되는 프로작 등이 대표적이다. 이런 약물을 먹으면 세로토닌의 재흡수를 억제하고 시냅스에 더 오래 머물도록 해서 우울감 등이 호전된다.

 

그런데 세로토닌의 작용은 중추신경에만 미치지 않는다. 애초 발견된 곳도 소화기였다. 1937년 이탈리아의 Erspamer는 토끼의 위에서 소화기의 평활근 수축을 유발하는 물질을 발견하고 엔테라민(enteramine)이라고 명명하였는데, 그것이 바로 세로토닌이다. 연구를 지속함에 따라 세로토닌 수용체가 더 다양한 신체 부위에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나아가 오늘날에는 거의 모든 기관에서 호르몬, 신경전달물질, 유사분열물질(mitogen)과 같은 여러 가지 역할을 수행하는 전방위적인(ubiquitous) 물질로 재조명받고 있다.

 

위의 사례들에서 보듯 인체의 복잡성과 환자 개개인의 상태를 고려하지 않은 채 단순히 한두 변수만을 정상 범주로 되돌려 놓으면 사슬처럼 길게 이어진 대사적, 생리적 조건이 교란되어 오히려 환자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 약리학의 기존 패러다임이 한계에 봉착했다는 우려가 나오는 것 역시 이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세계적인 과학지 NATURE지는 한의학의 방제(方劑) 원리인 ‘군신좌사(君臣佐使)’ 이론을 재조명하였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최근 주목 받고 있는 시스템 과학과 한의학이 놀라울 정도로 일치된 철학을 갖고 있으며, 과거의 한의학적 사고방식이 과학 연구에 있어서 최적의 방법론이 될 수 있다.

군신좌사(君臣佐使) 이론은 고대의 정치제도에 인체의 기능을 대비하여 약을 처방한 데서 비롯된 한의 처방 구성 원리이다. 한의사들이 약을 처방할 때 단일 약제만 쓰는 경우는 드물고, 대개 여러 가지 약제를 혼합해 처방하는데 일반적으로 군약(君藥)-신약(臣藥)-좌약(佐藥)-사약(使藥) 등 기능이 다른 네 가지 약물 군이 포함된다. 임금에 비유되는 ‘군약(君藥)’은 가장 주된 약효를 제공하는 약이다. ‘신약(臣藥)’은 군약(君藥)의 효력을 보조 및 강화하는 약이며, ‘좌약(佐藥)’은 군약(君藥)의 독성 완화 및 수반 증상의 해소를 목적으로 더해진다. 마지막으로 ‘사약(使藥)’은 처방의 작용 부위를 질병 부위로 인도하고 여러 한약을 중화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앞서 언급한 논문 <A systems approach to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의 저자는 KAIST 출신의 이상엽 교수와 김현욱 박사다. 과거 약학계에서는 한약 자체를 약으로 취급하지 않는 경향이 있었다. 과거의 관점에서 약물이란 타깃 수용체에만 정확하게 관여하는 특정 유효 성분을 함유해야만 했는데, 자연물인 식물은 워낙 다양한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효능 자체를 직선적으로 설명하기 힘들어 거의 분석이 불가능했다. 게다가 일반적인 한약 처방에는 약재들이 기본적으로 5~6개 이상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사실상 분석을 포기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런데 한약의 다중 성분이 상승효과(synergistic effect)를 발휘하고, 생체 내 상호작용(drug-drug interaction)을 일으킴으로써 치료 효과를 강화하고 독성은 줄일 수 있다는 것을 해당 논문에서 밝혀낸 것이다.

 

시스템 과학(systems science)의 성공과 함께 속속들이 밝혀지고 있는 다중 성분의 유효성은 실제 철학적 위기에 봉착한 의약계에 새로운 활로를 뚫어주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전통 천연물을 기반으로 한 신약 개발 추세이다. 약국에 가서 유심히 살펴보면 최근에 개발된 약들이 대개 특정 양약의 유효 성분에 복합 생약 제제를 합한 방식이라는 것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약국에서 두드러기약이라고 주는 ‘알레스탑에스정’의 구성 성분을 살펴보면 항히스타민제인 말레인산클로르페니라민과 한약 처방인 인진호탕(茵蔯蒿湯)이 합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기침약 ‘자모’에는 한약재인 마황(麻黃), 원지(遠志), 길경(桔梗), 인삼(人蔘)이 들어있고 거담제 구아이페네신이 섞여 있다. 많은 사람에게 익숙한 복합 우루사나 인사돌 플러스정의 구성 방식도 이런 방식이다.

사례를 찾는 게 어렵지 않다는 건 이러한 방식의 처방 구성이 훨씬 안전하고 효과적임을 반증하는 것이라 하겠다. 그런데도 유독 한국의 의사들은 한약이 간독성을 일으킨다며 의도적으로 한약 폄훼 정책을 펼친다. 아이러니한 건 본인들도 그런 약을 처방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화학 약물인 서양 약물과 구별되는 한약의 장점은 무엇일까?

 

첫 번째치료의 안전성을 들 수 있다. 굳이 어떤 근거를 들 필요도 없이 사람들은 본능적으로 인공 화학 약물보다는 자연으로부터 온 식품과 약물을 택하고 싶어 한다. 글로벌 기업들은 이미 합성 의약품의 대안으로 천연물 유래 신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화장품 회사들은 자연물에서 추출한 성분을 넣었다고 광고하기 바쁘다. 한방차, 한방 오리 등 몸에 좋은 자연의 약물들을 이용했다고 홍보하는 식당도 흔하다.

 

물론 자연에서 온 식품이나 약초가 무조건 안전하다고 말할 수는 없다. 복어는 자연의 생물이지만 독에 함유된 테트로도톡신(tetrodotoxin)은 굉장히 치명적이고, 자연에서 온 독버섯 역시 그러하다. 애초 식물이나 미생물이 방어를 위해 만든 이러한 독성을 인류는 오히려 자신들의 목적에 맞게 합성해 독성 화학물질로 만들어 왔다. 그러니 엄밀히 말하면 만물은 화학물질이며, 생명체 내에서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든 화학 실험실에서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든 특별히 다른 성질을 가질 리가 없다. 다만 한약에 사용하는 천연물이 안전한 것은 위험한 성분이 없어서가 아니라 선조들이 오랜 시간 약으로 사용하며 경험적으로 검증해온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식물에는 위험한 성분이 거의 포함되지 않거나, 있다 해도 그 양이 극히 미미하다. 때문에 한약제제의 경우 신약 개발 단계에서 임상 1상 시험을 면제해준다. 한약의 안전성을 그만큼 인정한다는 뜻이다.

 

실제로 1981년부터 2006년 사이에 개발된 974개의 약물을 보면 그중 63%가 자연에 있는 물질 또는 이를 변형한 화합물을 사용했다. 일반 신약은 새로운 특정 성분을 추출하거나 가공하여 약물로 만드는 반면, 천연물 신약은 경험적인 안전성과 유효성이 입증된 생약을 사용해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때문일 것이다. 또한 천연물 신약은 신약 개발에 필요한 기본적인 임상 및 독성 기록에 대한 정보를 한약, 생약과 관련한 서적 등에서 찾을 수 있기 때문에 신약 후보를 선정하고 정보를 수집하는 임상 이전 단계까지의 개발 비용과 시간을 절감하는 장점이 있다.

 

현재 병의원에서 처방되는 약 중에서도 천연 성분을 이용한 것들이 매우 많다. 진통제의 부작용을 막기 위해 처방되는 급만성 위염 치료제 스티렌정(Stillen Tab)은 성분의 95%가 애엽(艾葉), 즉 쑥이다. 애엽은 예전부터 한사(寒邪)를 없애고 통증을 멈추는 효능과 경맥(經脈)을 따뜻하게 해 지혈(止血)하는 효능이 있다고 하여, 아랫배가 차가운 느낌이 나며 아픈 증상과 토혈(吐血) 증상에 처방되어왔다. 진해거담제로 처방되고 있는 시네츄라시럽(Synatura syrup) 역시 동의보감(東醫寶鑑)에 실린 호흡기 처방 황련화담환(黃連化痰丸)과 억심청폐환(抑心淸肺丸)에 함유된 황련(黃連)에 아이비엽을 조합하여 시너지를 극대화한 약이다. 안국약품이 개발한 시네츄라는 발매 4년 만에 매출 730억 원대를 기록했고, 2002년에 허가 받은 동아 ST스티렌은 6900억 원대 누적 매출로 국산 신약 중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했다. 상황이 이러함에도 양의계에선 한약이 무조건 간에 안 좋다는 식의 유언비어를 계속해서 퍼뜨리고 있는 실정이다.

 

한약이 간 손상을 유발한다는 것은 근거 없는 흑색선전이다. 한약과 간 손상의 관계를 밝히고자 이루어진 해외의 대규모 연구 결과들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1,000명 이상을 다룬 한약-간독성 연구에 한정해서 보자면, 독일의 경우 한약 복용 대상자 1,450명 중에서 간 손상을 일으킨 경우는 14(0.97%)이었고, 일본의 경우 3,102명 중 7(0.23%)에 불과했다. 또 다른 일본 연구에서도 한약 복용 군 중 간 손상을 일으킨 경우는 2,496명 중 15(0.6%)에 불과했다. 기타 영국/일본의 연구도 역시 한약 복용 군이 간 손상을 일으킨 경우는 0%~0.33% 뿐이었다. 양방 병원에 입원한 동안 생긴 약인성 간 손상이 4,601명 중 1.4%(57)이었다는 연구가 있는데, 이와 비교할 때 이 수치들은 굉장히 낮은 수준이다. 게다가 위 연구들에서 언급한 한약 복용 후 간 손상은 단순히 시간적 선후 관계만 밝힌 것일 뿐 인과관계는 확립되지 않은 것이기 때문에 실제 한약 복용으로 간 손상이 유발될 확률은 훨씬 더 낮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국내 연구 역시 결과는 비슷했다. 1990년에서 2008년 사이에 보고된 40편의 연구를 분석한 결과 3,232명 중 19명에서 간 손상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한약 복용 후 발생한 간 손상의 비율을 0.59% 볼 수 있는 수치이다. 또한 강동경희대병원에서 5년간(2006~2010) 14일 이상 입원해 한·양방 치료를 병행한 환자 89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한약·양약 병용 후 간 손상은 단 5건으로 전체의 0.56% 이하였다는 결과를 국제학술지 천연의학(phytomedicine)에 게재했다. 해당 연구는 한약·양약 병용 약인성 간 손상 비율을 국제적으로 발표한 최초의 연구로 특히 당뇨, 암 등의 전신질환 환자를 배제하지 않았고, 입원 기간이 길어 관찰 기간도 길었으며(41.55±25.02days), 의원급/외래에 비해 한약 복용량도 많았기에 의미 있는 논문이다.

 

물론 한약이 무조건 안전하다는 뜻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약인성 간염을 유발하는 요인은 원 물질(parent compound)의 생체 전환(biotransfromation)을 통해 생성된 활성 중간 대사체(reactive intermediates)로 인한 것과 산화에 따른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로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이들 2가지는 간에서 약물의 생체 전환 또는 대사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시토크롬 P450(cytochrome P450)의 활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한약의 성분 역시 시토크롬 P450에 의해 친수성으로 생체 전환되어 소변을 통해 배출되지만 일부는 배출되지 않고 독성을 유발하는 활성 중간 대사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한약의 성분도 간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인데, 바로 그런 이유 때문에 한약을 사용할 때에는 반드시 전문가의 지시를 따라야 한다. 약 관련 사고의 대부분은 한의사의 처방과 지시 없이 민간에서 무분별하게 약초를 남용할 때 발생한다.

 

전 세계적으로 전통 의약을 비롯한 세계 보완 대체의약 시장은 성장하는 추세이다. GIA(Global Industry Analysts, Inc.)의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보완 대체의학 시장은 2020 1,542 7,400만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2015년 시점에서도 시장 규모는 1,141억 달러이며, 그중에서도 한방약(Herbal Medicine) 58.1%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런 상황인지라 한약-간 손상 관련 연구들은 국제적으로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데, 2016년 최신 고찰 논문(review article)에서는 “한약 관련 간 손상이 지나치게 부풀려져 있다”며 여러 차례 강조하고 있다. 더욱이 이 논문은 한약에 대해 호의적일 수밖에 없는 한의사나 중의사가 아닌, 바로 의사들이 쓴 논문이다.

 

 

한의학적 치료의 두 번째 장점은 바로 개인의 특수성을 고려한 치료라는 것이다. 기사에 따르면 한의학의 장점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한의사와 환자 모두 ‘개인별 체질에 따른 맞춤 치료’를 꼽았다고 한다. 한의학에서는 진찰할 때 단순히 질병명을 정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변증(辨證)이라고 하는 추가적인 진찰 과정을 거친다. 변증이란 환자의 임상 자료를 종합 분석하여 질병의 병리적인 본질을 인식하고 아울러 구체적인 진단을 도출하는 과정이다. 진단명은 똑같이 ‘비만’일지라도 어떤 사람은 에너지 대사가 떨어져서 살이 찌게 된 것일 수도 있고, 또 어떤 사람은 인체 내 노폐물 처리가 원활하지 않은 것이 원인일 수 있다. 이에 대해 한의학에서는 환자의 특수성을 고려해 각각 기허형(氣虛型), 습담형(濕痰型)으로 재분류한다. 한 가지 질환명으로 환자들을 단순하게 묶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특수성을 한 번 더 고려하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겠다.

 

사상의학(四象醫學)으로 대표되는 체질 의학으로서의 한의학의 특성은 사실 현대 의학의 트렌드와도 일치한다. NATURE Oncology에서 제창한 4P Medicine’은 현대 의학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한 일종의 강령에 해당하는데 4P란 각각 예측(Prediction), 예방(Prevention), 맞춤 치료(Personalization), 참여(Participation)를 의미한다. 이 중 맞춤 의학(Personalized medicine)누구에게나 획일적으로 치료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유전 정보를 토대로 맞춤형 치료를 하자는 제안이다. 물론 지금까지의 한의학이 환자의 유전자 상태까지 고려해 약물치료를 시행한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겠으나, 한의학적 치료는 누구에게나 똑같은 진통제, 소염제, 소화제를 주는 방식이 아니라는 점은 모두가 공감할 수 있을 것이다.

 

 

한의학적 치료의 세 번째 장점으로 유기적 정체관을 꼽고 싶다. 한의학의 특징 중 하나는 오장육부(五臟六腑)를 중심으로 희노애락(喜努哀樂) 등의 감정을 포함한 인체의 내재적 기능과 피부, 근육 등 인체의 표면적 기질을 연결해 인체를 통합적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한의학의 원전에는 “심장은 즐거움을 주관한다(心主喜), “폐가 피부를 주관한다(肺主皮毛)”처럼 선뜻 이해하기 힘든 표현들이 많이 등장하는데 여기에는 한의학 특유의 정체관이 담겨 있다. 인체를 개별적인 기관의 집합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서로 유기적 작용을 하는 연결체로 인식하는 것, 이것이 바로 한의학 특유의 인체관이다. 과거에는 이러한 관점이 무언가 미신적이고 비과학적인 것으로 치부되었지만, 생물학의 발전과 함께 그간 분리해 인식했던 인체의 각 기능과 조직들이 실은 얼마나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지 세세히 밝혀지고 있다.

 

새로운 의학 트렌드가 추구하는 철학이 한의학 고유의 철학과 일치한다고 말하면 너무 아전인수 격인 해석일까? 한의학에서는 질병을 심신의 조화가 깨진 불균형의 상태로 인식하고 이를 바로 맞추는 것을 치료의 목표로 삼고 있다. 따라서 특정한 과의 특정한 증상을 주소(主訴)로 내원하더라도, 바로 그 특정 질환에 대처하기 위해 한의원에서는 다층적이고 통합된 접근을 위한 전반적인 진찰 과정을 거친다. 전인론적 인간관과 통합적 사고를 근간으로 하는 한의학적 치료가 다시 학계의 관심을 받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지 않을까 싶다. 한 가지 방법으로 모든 것을 해결하려는 방식은 과거에도 효과가 없었고 앞으로도 효과가 없을 테니 말이다.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한의학 박사, 침구의학과 전문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