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의학이야기/Medical

전주 이진복한의원 압통유발점 압박-이완 기법

by 이진복한의원 2021. 11. 18.

안녕하세요.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입니다. 

 

새로운 용어 압통유발점 압박 이완(trigger point pressure release)이 이전 용어와 허혈성 압박(ischemic compression) 개념을 대체합니다. TrP 압박 이완 기법은 중심성 TrP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사용에 대한 근거를 지닙니다. 그러나 부착부 TrP에 적용할 경우 압박 이완 기법의 가치는 실험적으로 평가될 필요가 있습니다. 임상적 증거들과 TrP의 속성에 따르면 TrP를 비활성화하기 위해 손가락으로 압력을 가할 때 허혈을 만들어낼 만큼 충분한 압력을 가할 필요가 없습니다. TrP의 중심부(core)는 이미 증가된 조직 산소 장력에 의해 둘러싸여 심각한 저산소증을 겪고 있기 때문에, 그러한 추가적인 허혈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할 이유가 없습니다. 치료 시에는 TrP 내 수축성 매듭(contraction knots)에 의해 수축된 근절(sarcomeres)들을 풀어줄 필요가 있습니다.

 

The new term trigger point pressure release replaces the previous term and concept of ischemic compression. TrP pressure release is known to be effective at central TrPs where there is a rationale for its use. However, its value when applied to attachment TrPs needs to be evaluated experimentally. Clinical evidence and the nature of TrPs indicate that, when applying digital pressure to a TrP to inactivate it, there is no need to exert sufficient pressure to produce ischemia. Since the core of the TrP already is suffering severe hypoxia surrounded by increased tissue oxygen tension, there is no reason to expect that additional ischemia as such would be helpful. Treatment needs to release the contractured sarcomeres of the contraction knots in the TrP.

 

이전에 허혈성 압박(ischemic compression)이라고 설명했던 술기는 본질적으로는 프루든(Prudden)이 마이오테라피(myotherapy)이라고 불렀던 것으로, 그 명칭은 스스로를 마이오테라피스트(myotherapist)라고 규정했던 이 기술의 실무자 집단에 의해 채택되었습니다.

 

The technique that was previously described as ischemic compression is essentially what Prudden called myotherapy, and was adopted by a group of practitioners of this technique who identified themselves as myotherapists.

 

출처 : Prudden B: Pain Erasure: The Bonnie Prudden Way. M. Evans & Co., New York, 1980 (pp.18, 19).

 

허혈성 압박 대신 우리는 통증유발점 압박 이완 기법이란 명칭을 적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이 술기는 허혈성 압박보다 덜 강력하며 장벽 해제(barrier release) 개념을 사용합니다. 압박 이완성 접근법은 임상적으로 동등하거나 더 효과적인 것으로 보이며, 주목할 만한 추가적인 허혈을 일으킬 가능성이 없습니다. 이 접근법은 각각의 근육의 요구에 맞게 조정되고, 보다 "환자 친화적"이며, 따라서 환자가 더 많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환자는 이후의 자가 치료를 위해 최적의 압박이 어떤 느낌인지 알게 됩니다. 그러나 장벽 해제 접근법은 더 높은 수준의 수기 기술을 요구합니다.

 

Instead of ischemic compression, we recommend the application of TrP pressure release. This technique is less vigorous than ischemic compression and employs the barrier release concept. The pressure release approach seems to be equally or more effective clinically and is NOT likely to produce appreciable additional ischemia. This approach is tailored to the needs of the individual's muscles, is more "patient friendly", and therefore is more likely to be used by the patient. The patient learns what optimal pressure feels like for subsequent self-treatment. The barrier release approach, however, does require a higher order of manual skill.

 

출처 : Lewit K: Manipulative Therapy in Rehabilitation of the Locomotor System. Ed. 2. Butterworth Heinemann, Oxford, 1991 (pp. 11, 81, 186).

 

통증유발점 압박 이완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 임상의는 편안함을 느끼는 구간(comfort zone) 내에서 저항을 증가시키는 지점까지 근육을 신장시킨(lengthen) 다음, 손가락이 확실한 조직 저항에 직면할 때까지(장벽에 맞닥뜨릴(engege) 때까지) TrP 위로(on) 점진적으로 압력을 증가시킵니다. 이때 환자는 어느 정도 불편함을 느낄 수 있지만 통증을 느껴서는 안 됩니다. 이 압력은 임상의가 촉지하는 손가락 아래에서 긴장 완화를 감지할 때까지 유지됩니다(하지만 증가되지는 않습니다). 촉지하는 손가락으로 조직을 느슨하게 만들고 새로운 장벽에 맞닥뜨릴 때까지 압력을 증가시킵니다(손가락은 느슨해지는 조직을 따릅니다). 임상의는 손가락 아래에 있는 근육의 긴장이 풀릴 때까지(“갑시다”) 다시 한번 가볍게만 압력을 유지합니다. 이 기간 동안 임상의는 더 나은 결과를 얻기 위해 압력의 방향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통증유발점 압박 이완 기법의 이러한 과정은 해당 근육의 딴딴해진 근육 섬유의 각 띠(band)에 대해 반복적으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 기법의 장점은 통증이 없고 어떤 부착에도 추가적인 부담을 주지 않으며, 따라서 TrP를 악화시키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손가락 기법은 특히 상대적으로 얇고 뼈에 겹쳐 놓여 있는 극하근(infraspinatus)이나 거근(serratus) 같은 근육에 매우 적합합니다.

 

To apply TrP pressure release, the clinician lengthens the muscle to the point of increasing resistance within the comfort zone and then applies gentle, gradually increasing pressure on the TrP until the finger encounters a definite increase in tissue resistance(engages the barrier). At that point the patient may feel a degree of discomfort but should not experience pain. This pressure is maintained(but not increased) until the clinician senses relief of tension under the palpating finger. The palpating finger increases pressure enough to take up the tissue slack and to encounter(engage) a new barrier(the finger "follows" the releasing tissue). The clinician again maintains only light pressure until more of the muscle tension releases ("lets go") under the finger. During this period the clinician may change the direction of pressure to achieve better results. This process of TrP pressure release can be repeated for each band of taut muscle fibers in that muscle. The virtue of this technique is that it is painless and imposes no additional strain on any attachment TrPs, and thereby avoids aggravating them. This digital technique is particularly well suited to muscles like the infraspinatus and serratus muscles that are relatively thin and overlie bone.

 

이 접근법의 효과는 종종 보충적인 술기를 포함시킴으로써 강화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추가적인 술기 역시 통증을 유발해서는 안 됩니다. 시술을 시작하기 전 단순히 근육을 느슨하게 만드는 것 외에도, 과정 내내 전체 근육이 느슨한 길이로 유지될 수 있습니다(maintained at a slackfree). 통증유발점 이완은 때때로 상호 억제(reciprocal inhibition)를 번갈아 가며 수축-이완 기동(contract-relax maneuver)을 수행함으로써 더욱 강화될 수 있습니다. 목표는 TrP의 수축성 매듭(contraction knots)을 풀고 근육 섬유 내에서 딴딴해진 띠를 구성하게끔 만드는 긴장(tension)을 푸는 것입니다.

 

The effectiveness of this approach can often be enhanced by including supplemental techniques. These additional techniques should not cause pain either. In addition to simply taking up the slack in the muscle before beginning the procedure, the entire muscle can be maintained at a slackfree length throughout the process. Release of the TrP may be further enhanced by occasionally performing a contract-relax maneuver alternated with reciprocal inhibition. The goal is to release the contraction knots in the TrP and release the tension they cause in the muscle fibers comprising the taut band.

 

(1) TrP가 너무 과민해서 어떠한 추가적인 기계적 자극도 견딜 수 없기 때문에; 

(2) 시술자가 장벽에 도달하는 데 필요한 압력을 잘못 판단했기 때문에;

(3) 시술자가 너무 세게 눌러 환자의 비자발적 긴장과 함께 통증과 자율신경 반응을 유발했을 때문에; (4) 환자가 TrP가 지나치게 과민하게 만들고 치료에 저항하게끔 만드는 TrPs 지속 인자들 때문에 이 장벽 이완 접근법은 통증 경감에 실패할 수 있습니다.

 

This barrier release approach may fail to afford relief because (1) the TrP is too irritable to tolerate any additional mechanical stimulation; (2) the operator misjudged the pressure required to reach the barrier; (3) the operator pressed too hard, causing pain and autonomic responses with involuntary tensing by the patient; and (4) the patient has perpetuating factors that make the TrPs hyperirritable and resistant to treatment.

시아쭈(Shiatzu) : 시아쭈(시아쭈란 일본어로써 문자 그대로 해석하자면, shi(숫자, 손가락)과 atsu(압), 즉 ‘손가락의 압’을 나타내는 말이다)와 지압(acupressure)은 허혈성 압박의 옛 개념과 유사한 술기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이지만 개념적으로는 TrP와 관련이 없습니다. 그러나 이 치료법에 대한 설명은 TrP가 종종 시아쭈로 치료되는 고통스러운 상태임을 강하게 시사합니다. 이러한 치료들은 통증 완화뿐만 아니라 다른 상태에 대해서도 추진(promoted)됩니다. 시아쭈와 지압은 철학적으로는 근막성 TrP의 개념과 상당히 다르지만, 실전 면에서는 많은 치료법이 상당히 흡사합니다.

 

Shiatzu : Shiatzu and acupressure are terms used to describe a technique comparable to the old concept of ischemic compression but are not conceptually related to TrPs. However, the descriptions of the treatment strongly suggest that TrPs are often the painful condition that is being treated with shiatzu. These treatments are promoted for other conditions in addition to the relief of pain. Shiatzu and acupressure are philosophically quite different from the concept of myofascial TrPs, but in practice many of the treatments appear quite similar.

 

출처 : Irwin Y, Wagenvoord J: Shiatzu. J.B. Lippincott, Philadelphia, 1976.

Chan P: Finger Acupressure. Ballantine Books, New York, 1975

 

전주 이진복한의원 이진복원장(한의학 박사, 침구의학과 전문의)

댓글